티린이는 참 할 게 많다. 티스토리는 카카오, 다음에서는 검색이 되는데, 네이버에서는 검색이 안 된다고 한다. 네이버에서 검색되게 하는 방법도 있지만(서치 어드바이저 등록), 나는 네이버 검색 노출에는 관심이 없었다.
그러나 구글은 조금 달랐다. 나는 블로그스팟을 할 예정이라서 구글 서치와 구글 에드센스에는 관심이 있었다. 그래서 티스토리부터 어떻게 적용되는지 확인하기로 했고, 구글 서치 콘솔을 통해 티스토리를 구글 검색에 노출시키기로 했다.
일단 구글 서치 콘솔에 들어가서 시작하기를 누른다.
URL 접두어에 내 티스토리 주소를 복붙하고 계속을 누른다.
계속을 누르면 이렇게 소유권 확인이 나오는데 나는 HTML태그를 등록하기로 했다.
(html태그 복사 버튼 눌러 두기)
내 티스토리 블로그의 주소 끝에 /manage을 붙이거나
메뉴바에서 내 블로그의 설정을 들어간다.
블로그 설정-꾸미기-스킨 편집으로 들어간다.
스킨 편집-html 편집으로 들어가서 </head>밑에 구글 서치 콘솔에서 복사한 html 태그를 붙여 넣는다.
그리고 다시 구글 서치 콘솔에 돌아가서 확인을 누르면 소유권 확인을 한다.
구글 아이디로 로그인하지 않으면 구글 서치 콘솔을 등록할 수 없고,
일단 A 구글 아이디로 구글 서치 콘솔을 등록했다면
B구글 아이디로는 구글 서치 콘솔이 등록되지 않는다.
B 구글 아이디로 바꾸고 싶다면 다시 html 편집에 들어가서 기존의 html 태그를 바꿔주면 된다.
안 그러면 저렇게 소유권 확인 실패가 뜬다. (호기심에 해봤다.)
아직 끝나지 않았다. 구글 서치 콘솔에서 해당 URL의 소유권 확인이 끝나면 이런 화면이 뜬다.
왼쪽 사이드바에서 Sitemaps를 누르고
새 사이트맵 추가에 /sitemap.xml과 rss를 제출해준다.
나는 이 2가지를 왜 제출하는지 몰라서 검색해보고 아래 티스토리 링크에 들어가서 2번이나 읽어 봤는데... 문과생은 답이 안 나왔다. (지금도 모른다.)
구글 검색 노출과 관련 있는 건데 얘는 자동, 색인 생성은 수동, 뭐 이런 건가, 싶다.
(색인 생성은 누락된 글을 수동으로 검색 노출 반영 요청하는 거라고 한다.)
▼▼사이트 맵과 rss에 대해서 확인할 수 있는 티스토리 (레벨 좀 쌓고 다시 봐야지.)
이렇게 sitemap.xml과 rss를 등록하면 드디어 구글 서치 콘솔 등록하기가 끝난다.
이제 내 티스토리도 구글 검색 노출이 되겠지?
바로는 안 되고 기간이 좀 걸린다는데 얼마나 걸리는 지 확인해봐야겠다.ㅎ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 시험 원서접수 (0) | 2022.05.09 |
---|---|
컴퓨터 활용 능력 1급/2급 시험 과목 및 기출 문제 (0) | 2022.04.18 |
2022년 공인중개사 시험 일정/시험 과목 (0) | 2022.01.17 |
TEPS 340점↑ & 한능검 2급↑ (0) | 2021.11.09 |
2022년 국가직 공무원 공채 일정 공고 (0) | 2021.11.08 |